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철학은 어떻게 삶에 무기가 되는가 10

책과의 대화

by 별을 보는 사람 2020. 6. 20. 07:00

본문

반응형

 

 

 

‘사회’에 관한 핵심 콘셉트 -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공평한 사회일수록 차별에 의한 상처가 깊다 - 세르주 모스코비치(Serge Moscovici, 1925 ~ 2014)

격차나 차별로 인한 질투의 감정은 사회와 조직의 동질성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구성원에게 상처를 준다. 19세기 전반에 활약한 프랑스의 정치사상가 알렉시 드 토크빌은 평등을 이상으로 내건 민주주의 대두에 즈음하여 그 모순을 날카롭게 지적한 바 있다.

 

불평등이 사회 공통의 법일 때는 최대의 불평등도 사람의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모든 것이 거의 평준화될 때 인간은 최소의 불평등에 상처 받는다.

 

평등이 커지면 커질수록 항상 평등의 욕구가 더욱 크고 끊임없이 계속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 알렉시 드 토크빌(미국의 민주주의) -p248

 

 

 

감시당하고 있다는 심리적 압박 -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 ~ 1984)

철학자인 벤담은 왜 감옥을 디자인했을까? 벤담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이상적인 사회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추구했는데, 그러한 사회에서는 범죄자의 갱생도 최대화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감옥 또한 연구해 본 것이다. 이런 감옥에서 정말로 수감자가 쾌적하게 지낼 수 있을지는 의문이지만, 여기서는 벤담이 생각한 감옥에 괜해 더 깊이 파고들지 않겠다. -p250

 

 

 

사람들은 필요해서가 아니라 다르게 보이기 위해 돈을 쓴다 -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1929 ~ 2007)

충족은 열량이나 에너지로서, 또는 사용 가치로서 계산하면 곧 포화점에 이를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 우리의 눈앞에는 명백히 그 반대 현상, 소비의 가속도적 증가가 펼쳐지고 있다. (------) 이 현상은 욕구 충족에 관한 개인적인 논리를 근본적으로 포기하고 차이화의 사회적 논리에 결정적인 중요성을 부여할 때만 설명할 수 있다 - 장 보드리야르(소비의 사회) 

여기서 보드리야르는 우리가 지닌 ‘욕구’는 개인적이고 자발적인 것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오히려 타인과의 관계성, 즉 ‘사회적’인 것으로 설명 가능하다고 말했다.

 

 

 

보이지 않는 노력도 언젠가는 보상받는다는 거짓말 - 멜빈 러너(Melvin Lerner, 1929 ~ )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는 각 분야에 대한 ‘연습량이 많고 적음에 따른 성과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정도’가 소개되어 있다.

컴퓨터 게임 : 26%
악기 : 21%
스포츠 : 18%
교육 : 4%
지적 전문직 : 1%

이 수치를 보면 글래드웰의 주장한 ‘1만 시간의 법칙’이 사람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는 얼마나 위험한 주장인지 알 수 있다. 노력은 보상받는다는 주장에는 일종의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어 매우 아름답게 들린다. 하지만 그것은 바람일 뿐이고 현실 세계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직시하지 않으면 의미 있고 풍요로운 인생을 살아가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p261

 

‘공정한 세상 가설’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공정한 세상 가설,

즉 노력은 언젠가 반드시 보상받는다는 사고는 실증 연구에서 부정되고 있으며 노력의 누적량과 성과의 관계는 해당 경기나 종목에 따라 달라진다고 밝혀졌다.

다시 말해 섣불리 이 사고에 사로잡혔다간 승산이 없는 일에 쓸데없이 인생을 허비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p261

 

 

 

반응형

'책과의 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해빙 2  (0) 2020.06.23
더 해빙 1  (0) 2020.06.22
철학은 어떻게 삶에 무기가 되는가 9  (0) 2020.06.19
철학은 어떻게 삶에 무기가 되는가 8  (0) 2020.06.18
철학은 어떻게 삶에 무기가 되는가 7  (0) 2020.06.17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