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충분히 심사숙고할 시간이 주어진다면, 그들은 아예 운동을 쉬거나 평소보다 더 짧은 길을 택할지도 모른다. 우리가 생각의 속도를 줄이고 고민을 시작하게 되면 결과(행동)는 완전히 달라진다. '어제 늦게까지 야근했으니까 오늘은 좀 쉬어도 되지 않을까?', '여름까지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으니까 그냥 오늘은 가볍게 걷기만 하자!' 앞에서 말한 습관의 최후의 적 '의식적 자아가 슬며시 고개를 드는 것이다.
습관은 재빨리 우리의 마음을 장악한다. 의식적 자아가 뭔가 다른 일을 꾸미고 있는 사이에 습관은 이미 신호를 받아 '행동을 향해 전력 질주할 준비를 마치는 것이다. 습관은 은밀하고 빠르게 의식을 장악한다. 의식적 자아가 발동될 틈을 주지 않는다. 습관이 형성되는 과정은 수학을 배수는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
습관이 완전히 형성되기 전까지는 목표와 보상이 필요하다. 저녁 식사를 예로 들어보자. 저녁식사를 준비하려면 무엇을 만들어 먹을 것인지 결정을 내려야 한다. '내가 뭘 먹고 싶지?', '나는 어떤 보상을 원하는 거지?', '무엇을 만들어야 보상을 얻을 수 있지?' 원하는 보상을 정하면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동이 시작된다. '어떤 재료를 넣어야 하지?', '어떤 도구가 필요하지?', '칼은 어디에 있지?' 마침내 요리를 완성해내면 당신은 맛있는 한 끼리는 보상을 얻게 된다. 이렇게 얻은 보상은 당신이 다음에도 똑같은 행동을 반복하도록 부추긴다. 습관이 조금씩 구색을 갖추기 시작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 과정을 '학습이라고 부른다.
뇌와 관련된 명칭이 너무 복잡하다면, 다 잊어버려도 상관없다. 요점은 그게 아니다.
즉, 당신의 행동이 뇌를 재설계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다른 사람의 눈에는 당신이 처음 그 행동을 배웠을 때(힉습)와 늘 똑같은 일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일을 반복할수록(습관) 당신의 뇌 속에서는 새로운 신경 시스템이 계속해서 재구축되는 것이다.
하지만 바로 이 순간이 반복이라는 망치가 눈부시게 활약할 순간이다.
처음에는 괴롭고 힘들겠지만, 임계점을 돌파하면 내적 갈등이 해소되면서 새로운 행동이 싹을 틔운다. 습관은 마음을 빠르게 장학한다. 자신이 선호하는 상황을 인식하기만 하면 반응이 자동으로 촉발된다.
그러니 이 점을 명심하라. 습관의 이 가공할 처리 속도는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할 때는 '선물'이 되지만, 원하지 않는 습관을 통제하려 할 때는 '골칫거리'가 된다는 것을.
돈의 속성 1 (0) | 2020.09.21 |
---|---|
해빗 - 내 안의 충동을 이겨내는 습관 설계의 법칙 2 (0) | 2020.09.20 |
시작의 기술 2 (0) | 2020.09.18 |
시작의 기술 1 (0) | 2020.09.17 |
윤재성의 소리 영어 PLUS - 소리에 집중하라 (0) | 2020.08.1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