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돈의 속성 2

책과의 대화

by 별을 보는 사람 2020. 9. 22. 07:00

본문

반응형

김승호

 

절대로 미래 소득을 가져다 현재에 쓰면 안 된다. 신용카드를 잘라 버리고 직불 카드를 시용해야 한다.

신용카드사에서 주는 포인트는 잊어 버려라. 그건 신용 카드사가 그냥 선물로 주는 것이 아니다. 포인트의 핵심은 '더 사용하기와 '포인트 수집용 구매다. 포인트를 모은다는 장점을 이용해서 필요 없는 소비를 늘리고 포인트를 얻기 위해 구매하는 방식으로 소비자를 현혹한다. 이는 마치 달걀을 얻기 위해 암탉을 죽이는 것과 같다. 지금 당장 현금이 없어도 미래 소득으로 구매가 가능 하다는 이유로 그깟 몇 프로 안 되는 포인트를 적립받기 위해 소비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만다.

 

 

 

그러나 내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부자의 기준은 다음 세 가지다.

 

첫째는 융자가 없는 본인 소유의 집이고,

 

둘째는 한국 가구 월평균 소득 541 만 1,583원을 넘는 비근로 소득이다. 강남에 수십 억짜리 아파트에 살고 있고 억대 연봉자라도 융자가 있고 본인이 일을 해서 버는 수입이 전부라면 부자라 말할 수 없다. 어떤 경제적 문제가 발생하거나 신체적 상해가 생겨도 살고 있는 집이 있고 평균 소득 이상의 수입이 보장된 사람이 부자다. 500만 원 이상의 비근로 소득이 있으려면 20억 원이 넘는 자산이 부동산이나 금융 지산에 투자되어 있어야 한다.

 

마지막 세 번째는 더 이상 돈을 벌지 않아도 되는 욕망 억제 능력 소유자다. 세 번째 조건을 충족하려면 한 인간이 자기 삶의 주체적 주인이 되어야 한다.

 

 

 

질문하는 행위는 바람직한 일이다. 공부를 잘한다고 반드시 성공하지는 않지만 질문하는 사람은 성공할 확률이 높다. 그러나 투자의 세계에서는 예외다.

투자는 직접적으로 돈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말 한마디에 따른 결정 하나가 실제 수익과 깊은 연관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답하는 사람이 답을 아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은행 직원, 증권회사 직원, 회계사 전업 투자가, 심지어는 이미 알려진 유명 편드매니저들 조차 사실은 알지 못한다. 전망과 소문을 전달할 뿐이다. 신문이나 TV에 자주 보이는 고수 외전, 필살기, 종목추천, 족집게, 투자 꿀팁, 상승 예상 종목, 실전 투자법, 그래프 적중 투자, 매매 특강, 단타 정곡법, 기술적 분석 성공비법 등의 모든 유혹적인 말은 다 사기다.

 

 

 

투자나 사업은 한 번 방향을 잃으면 경쟁에서 밀려나거나 심지어 망할 수도 있다. 집값이 폭락 하고 공황으로 현금이 말라가고 있는데 느닷없이 '집값 상승 시대 온다' 같은 터무니없는 기사가 나오기도 하니 말이다.

구매를 부추기는 신문기사를 사실대로 받아들이면 폐가 할 수 있고 누구에게도 책임을 묻지 못한다.

자신의 정치 성향과 개인 경제 정책은 독자적으로 분리 해 판단하기를 바란다.

 

 

 

내가 이런 이야기를 강연에서 하면 이런 질문을 하는 젊은이들이 꼭 있다.

“너무 돈만 강조하시는 거 아닙니까? 삶에서 돈이 중요한 건 알겠지만 그렇게 돈을 모은다는 건 돈의 노예가 되는 것 아닌가요?"라고 말이다.

나는 돈의 중요성과 부자의 길을 이야기할 뿐인데 저축과 투자 혹은 절약에 대해 건드리면 불편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나는 이 질문을 하는 청년이 위선적이라 생각한다.

돈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조차 경멸하면 부자가 될 첫 문을 닫는 것이고 돈을 그렇게 함부로 생각하는 것 자체가 이미 돈의 노예가 된 상대다.

돈 때문에 병원에 가지 못 하고 돈 때문에 공부를 하지 못하고 돈 때문에 결혼을 미루고 돈 때문에 아이를 못 낳고 돈 때문에 부모를 돕지 못하고 돈 때문에 늙어서 일을 찾아야 하고 빚을 얻으러 다니는 것이야 말로 돈의 노예 상태다. 그렇지 않은가!

 

 

 

나는 투자에 있어 선수보다 감독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본다.

아주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자산 배분을 잘하는 것이 투자 이익의 전부다.

실제로 자산 운용을 잘하는 기금들은 명확한 배분 정책을 갖고 있다. 자금 운용의 첫째 의무는 잃지 않는 것이다. 자산배분 정책이 없으면 언젠가 모두 잃을수 있다. 그동안 아무리 많이 벌었어도 한 번에 잃을 수 있다.

당신이 투자 상품에 갖는 관심의 아홉 배를 자산 배분에 쏟기 바란다.

 

 

 

김승호의 투자 원칙과 기준

1. 빨리 돈을 버는 모든 일을 멀리한다.

2. 생명에 해를 입히는 모든 일에 투자하지 않는다.

3. 투자를 하지 않는 일을 하지 않는다.

4. 시간으로 돈을 벌고 돈을 벌어 시간을 산다.

5. 쫓아가지 않는다.

6. 위험에 투자하고 가치를 따라가고 탐욕에서 나온다.

7. 주식은 5년 부동산은 10년.

8. 1등 아니면 2등, 하지만 3등은 버린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