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네이티브는 쉬운 영어로 말한다 - 경제뉴스 헤드라인 편

책과의 대화

by 별을 보는 사람 2022. 6. 22. 14:18

본문

반응형

정세미 지음

 

 

1. 뉴스 헤드라인의 특징과 빨리 해석하는 법

영어 뉴스 헤드라인의 특징으로는 a나 the와 같은 관사 생략, 3인칭 단수에 붙는 s 생략, 주어와 목적어의 위치 전환등이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런 헤드라인 문장의 특징들은 기사의 내용을 좀 더 임팩트 있게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런 이유로 문법적으로 따져가며 해석하기보다는 핵심 표현과 말하고자 하는 방향성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법 오류 속에서 주어 & 동사 찾기

헤드라인은 핵심 내용을 한 문장으로 짧고 굵게 나타내기 때문에 평상시 말할 때 필수적으로 쓰는 동사, 전치사 등이 빠지거나 목적어가 앞으로 오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주어가 무엇인지 헷갈릴 수 있는데 방향을 쥐고 있는 핵심 동사를 먼저 찾아낸 다음 주어를 확인하는 것이 첫 번째 Key다.

 

U.S. in the grip of industrial stagnation.

미국은 제조업 침체에 빠져있다.

-> U.S. 뒤에 be동사 is가 빠져 있다. 원문으로 바꿔 보면 U.S. is in the grip of industrial stagnation이 된다. 영문 기사 헤드라인에서 be동사는 생략되곤 한다.

 

Top 5 stocks Wall Street thinks will soar 30% in the next quarter.

월가는 상위 5개 종목들이 다음 분기에 30%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

-> 목적절의 주어인 top5 stocks를 문장 맨 앞에 배치한 형태다. 도치 전 원문은 Wall Street thinks the top 5 stocks will soar 30% in the next quarter 이다.

 

Tech stocks surge nearly 30% the first quarter.

기술주들은 1분기에 30% 가까이 상승하다.

-> 전치사 in이 생략된 경우임. 원문은 Tech stocks surge nearly 30% in the first quarter 임.

 

Shares extend losses in wake of global tumult over supply crisis.

공급 위기로 인한 전 세계 혼란에 뒤이어 주가는 하락세를 이어가다.

-> 관사 the가 생략된 경우임. 원문은 Shares extend losses in the wake of global tumult over supply crisis 임.

 

방향 & 강도 잡아내기

헤드라인을 읽을 때는 방향과 강도를 빠르게 잡아내야 한다. 주식 시장과 관련된 뉴스에서 가장 중요한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상승, 보합(횡보), 하락이 있다. 주가가 상승하다 반전하여 저점을 찍고 다시 반등하는 건지, 하락하다 횡보하며 좀처럼 갈피를 잡지 못하는 건지 등 해당 기업의 주가나 매래 전망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는지 짚어내야 한다.

 

상승: South Korean e-commerce giant soars in market debut.

         한국의 이커머스 대표주자는 성장 첫날 급등했다.

 

횡보: U.S. futures flatline as a big 'Quadruple Wiching' deadline looms.

         미국의 선물지수는 '네 마녀의 날'을 앞두고 횡보 장세를 보이다.

 

하락: Global share prices slide as China slowdown concerns grow.

         글로벌 주가는 중국의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하다.

 

 

2. 금융 시장 종류

- Equity market: 주식 시장(경제 뉴스에서는 같은 뜻으로 Wall Street 또는 Capital market 이라고도 표현한다.)

- Commodities market: 상품 시장(원유, 천연가스·금·구리 등 광업 생산물, 천연고무·원목 등 임업 자원, 인간의 노력이 들어가는 각종 농산물, 가축·휘발유·등유·LPF·플라스틱 재료 등 가공품까지 광범위한 상품을 포함한다.)

- Currency exchange market: 환율 시장

- Bond market: 채권 시장

- Derivative market: 파생상품 시장

 

 

3. 최빈도 용어

- Stocks, Shares, Securities: 주식, 증권

- Bonds: 채권

- Fed: 미국 연방준비제도 (The Federal Reserve System, 줄여서 The Federal Reserve 또는 Federal의 첫 3개 알파벳을 따서 Fed라고 함, 국가의 통화금융정책을 수행하는 미국의 중앙은행제도)

- FRB: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ederal Reserve Board of Governors 또는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의 약자로 Fed의 핵심적인 기관임)

- FOMC: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의 약자로 FRB 산하에 있는 공개시장조작 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담당하는 기구입니다. 한국의 금융통화위원회와 유사한 조직임)

- Quantitative easing: 양적완화 (중앙은행이 다양한 자산을 사들여 시중에 통화 공급을 늘리려는 정책)

- Taper tantrum: 긴축 발작 (선진국의 양적완화 축소 정책이 신흥국의 통화 가치와 증시 급락을 불러오는 현상)

- SEC: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의 약자로 미국 증권업무를 감독하는 최고 기구)

- High risk assets: 고위험자산(주식과 상품 등)

- Safe-haven assets: 안전자산(엔화, 미 달러, 금 등)

- IPO: 신규 기업 상장(Initial Public Offering의 약자로 기업의 주식과 경영내역을 시장에 공개하여 외부 투자자가 주식을 사고 팔 수 있게 한다.)

- Consensus: 컨센서스 (에널리스트들이 추정한 실적 전망의 평균치를 말한다.)

 

 

4. 긍정 & 부정의 표현들

- bull market vs. bear market: 강세장 vs. 약세장

- bullish vs. bearish: 낙관적인, 주가 상승세의 vs. 비관적인, 주가 하락세의

- dovish vs. hawkish: 비들기파적(온건파적) vs. 매파적(강경파적)

- inflation vs. deflation: 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