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메뉴 리스트

  • 홈
  • 책과의 대화
  • 프로그래밍 언어
  • 디지털 노마드
  • 맛집
  • 별자리
  • 분류 전체보기 (368)
    • 책과의 대화 (177)
    • 맛집 (46)
    • 사용기 (45)
    • 별자리 (15)
    • MBTI (17)
    • 영어공부 (4)
      • 영자 신문 헤드라인 (4)
    • 소프트웨어 (3)
    • 여행 (4)
    • 음악 (8)
      • 팝 (7)
    • 프로그래밍 언어 (43)
      • 파이썬 (16)
      • 웹 스크래핑 (21)
    • 디지털 노마드 (4)
    • 정보 (1)

검색 레이어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책과의 대화

  • 1cm 다이빙

    2020.06.25 by 별을 보는 사람

  • 하버드 상위 1퍼센트의 비밀

    2020.06.24 by 별을 보는 사람

  • 더 해빙 3

    2020.06.24 by 별을 보는 사람

  • 더 해빙 2

    2020.06.23 by 별을 보는 사람

  • 더 해빙 1

    2020.06.22 by 별을 보는 사람

  • 철학은 어떻게 삶에 무기가 되는가 10

    2020.06.20 by 별을 보는 사람

  • 철학은 어떻게 삶에 무기가 되는가 9

    2020.06.19 by 별을 보는 사람

  • 철학은 어떻게 삶에 무기가 되는가 8

    2020.06.18 by 별을 보는 사람

1cm 다이빙

태수 씨와 문정 씨가 풀어가는 삶에서 소소한 행복 찾기 프로젝트. 하지만 중간중간 글쓴이들의 아주 개인적인 삶의 아픔들도 녹아 있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행복 찾기 방법 중에는 공감 가는 부분도 있고 너무 사소해 피씩 하고 웃음이 나오는 대목도 있었다. 이 책에서는 '삶에서의 행복'이라는 커다란 주제에 대하여 그에 맞는 거대한 삶의 변화를 설명하지 않는다. 그저 소소한 일상들을 다시 생각해보며 그 속에서 삶의 행복들을 찾아가는 방법들을 알려준다. 그 방법들이 잊고 있던 삶 속의 행복들을 일깨워 준다. 삶 속에 조그만 행복들을 만들어가고 그 행복 들이 쌓여가다 보면 정말 행복한 삶을 살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태수 씨와 문정 씨가 살아가면서 느꼈던 희로애락들이 사회의 특출한 사람들만 감정들이 아니..

책과의 대화 2020. 6. 25. 07:00

하버드 상위 1퍼센트의 비밀

중요한 지점은 페드로이아가 전문가들의 가혹했던 평가에 신경조차 쓰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그의 이러한 차단은 새로운 성공 곡선을 만들었다. 페드로이아는 MVP로 당당하게 성공했고 스카우터들의 당황한 표정에도 신경 쓰지 않았다. 그에게는 야구공과 베트만이 보였고 그 단순한 집중이 모든 그래프를 뛰어넘어 새로운 그를 만들었다. -p38 스틸이 바꾼 것은 이렇게 파괴적인 신호들에 대한 차단이었다. 사회심리학자 로랑 베그의 지적처럼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은 상당 부분 타인의 판단"에서 온다. 스틸은 그 잘못된 판단을 차단시키는 중요성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p48 심리학자인 앤크리스틴 포스텐은 환경의 신호는 우리가 그것을 신뢰해야 영향력이 생긴다는 사실을 연구 결과로 밝혀냈다. "모든 환경적 신호는 받아들이는 ..

책과의 대화 2020. 6. 24. 07:00

더 해빙 3

감정에 답이 있다 "네. 자신의 상황을 바꿀 수 있는 열쇠는 생각이 아닌 감정이에요. 그동안 과학 기술의 발달로 우리는 이성의 힘을 맹신해왔죠. 하지만 이성이 지배하는 사회의 부속품이 되지 않으면서 주체적으로 더 나은 미래를 열 수 있는 비밀은 바로 '느낌'에 있답니다. 자신의 느낌으로 부를 창조하는 것, 그것이 바로 Having이죠" -p149 "우리의 미래는 밀가루 반죽과 같아요. 다양한 가능성으로 존재하죠. 우리가 관찰하고 인식하고 느끼는 에너지가 반죽의 모양을 형성하는 거예요. 그리고 완성된 반죽이 굳어지면 우리 앞의 현실이 되죠. 다시 말해 쿠키를 어떤 모양으로 빚고 구워낼지는 우리 손에 달려 있다는 말이에요." "아. 알겠어요. 그 감정이 바로 Having이군요. 돈을 가지고 있다는 기쁨 말이..

책과의 대화 2020. 6. 24. 07:00

더 해빙 2

돈을 끌어오는 사람 vs 돈을 밀어내는 사람 "눈에 보이는 사실에 속지 마세요. 진실은 의외로 간단해요. 긍정적인 에너지로 돈을 누리면 반드시 더 큰돈을 당겨올 수 있어요. 애너지는 원인, 물질은 결과로 따라오죠." -p93 "진짜 부자는 돈을 쓰면서 그것을 기쁨으로 누릴 줄 알죠. 지금 주머니에 얼마가 있는지는 중요치 않아요. 돈을 쓰는 그 순간 Having을 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그 감정 에너지로 돈을 끌어당기거든요. 아무리 적은 액수도 상관없어요. Having은 단돈 1달러라도 '지금 나에게 돈이 있다'는 것에 집중하는 데서 시작해요. 그 감정이 커져갈수록 돈을 벌 수 있는 내 능력에 감사하게 되죠. 돈을 벌어다 준 세상에게도 감사하게 되고요. 그렇게 더 큰돈이 돌아올 것을 아는 것, 그것이 진짜..

책과의 대화 2020. 6. 23. 10:08

더 해빙 1

'더 해빙'은 '도대체 내가 뭘 읽은 거지'에 나온 초월적 자기 계발서의 일종인 것 같다. 그리고 '더 해빙'이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과 비슷한 책을 예전에 본 적이 있다. 그 책 역시 소설 형식으로 이야기를 풀어 나갔고, 내용 역시 어떤 구루가 존재하고 우연히 그 구루에게 '어떻게 부를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실천하면서 부를 이룰 수 있는 길에 들어선다는 내용이었다. 배경 역시 비슷했다. 아름다운 섬에 초대되어 자연을 만끽하며 구루가 제시하는 성공 비결을 하나하나 실천한다는 내용이다. 왜 나한테는 책의 배경이나 주인공들의 감정 표현들이 좀 손 발 오그라들게 느껴질까? 책 속에 나오는 '부를 이루는 방법'들은 솔직히 내가 직접 해보지 않아 호기심도 간다. 하지만 지은이가 책 속 주인공들..

책과의 대화 2020. 6. 22. 07:00

철학은 어떻게 삶에 무기가 되는가 10

‘사회’에 관한 핵심 콘셉트 -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공평한 사회일수록 차별에 의한 상처가 깊다 - 세르주 모스코비치(Serge Moscovici, 1925 ~ 2014) 격차나 차별로 인한 질투의 감정은 사회와 조직의 동질성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구성원에게 상처를 준다. 19세기 전반에 활약한 프랑스의 정치사상가 알렉시 드 토크빌은 평등을 이상으로 내건 민주주의 대두에 즈음하여 그 모순을 날카롭게 지적한 바 있다. 불평등이 사회 공통의 법일 때는 최대의 불평등도 사람의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모든 것이 거의 평준화될 때 인간은 최소의 불평등에 상처 받는다. 평등이 커지면 커질수록 항상 평등의 욕구가 더욱 크고 끊임없이 계속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 알렉시 드 토크빌(미국의 민주주의) ..

책과의 대화 2020. 6. 20. 07:00

철학은 어떻게 삶에 무기가 되는가 9

‘사회’에 관한 핵심 콘셉트 -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때로는 판단을 보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에드문트 후설(Edmund Husserl, 1859 ~ 1938) 단순하지 않은 것, 명확하지 않은 것을 명석하게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이미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지’ 항목에서 확인한 대로, 성급하게 자신이 다 안다고 생각하는 것은 심각한 오류의 근원이 된다. 이때 다 안다고 생각하지 않고 판단을 보류하는 것을 에드문트 후설은 ‘에포케 epoche’라고 했다. -p300 과학적인 것이 꼭 옳은 것은 아니다 - 칼 포퍼(Karl Raimund Popper, 1902 ~ 1994) 과학이란 무엇일까? 이 물음에 수많은 사람이 다양한 답을 내놓았지만 영국의 과학 철학자 컬 포퍼는 ‘반증 가능성fal..

책과의 대화 2020. 6. 19. 07:00

철학은 어떻게 삶에 무기가 되는가 8

‘사회’에 관한 핵심 콘셉트 -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결국 이런 뜻이죠’라고 말하면 안 되는 이유 - 소크라테스(Socrates, B.C. 47 0 ~ B.C. 399) 우리는 무의식 단계에서 마음속으로 ‘멘털 모델 mental model’을 형성한다. 멘탈멘털 모델은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각자 마음속에 갖고 있는 ‘세계를 보는 창’을 뜻한다. 그리고 현실이라는 바깥세상에서 오는감을 통해 인식한 정보는 멘털 모델을 거쳐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길러지고 왜곡되어 받아들여진다. “요컨대 OO이라는 뜻이죠?”라고 정리하는 것은 상대에게 들은 이야기를 자신이 가진 멘털 모델에 맞춰 이해하는 듣기 법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그렇게만 듣는다면 자신을 바꿀 기회를 잡을 수 없다. -p268 만약 ..

책과의 대화 2020. 6. 18. 07:00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3
다음
osFactory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 osFactory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